마인크래프트 미성년자 이용불가 사태
(비교)
r10 vs r11 | ||
---|---|---|
... | ... | |
58 | 58 | * 한편 정치권에서 처음으로 이 문제를 언급하였는데 [[2021년]] [[7월 1일]] [[더불어민주당]] 공명선거 실천 서약식 및 프레스데이 행사에서 [[제20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겠다고 선언한 [[더불어민주당]] 소속 경선 후보 8명[* [[추미애]], [[이재명]], [[정세균]], [[이낙연]], [[박용진(정치인)|박용진]], [[양승조]], [[최문순]], [[이광재]]] 중 한 명인 [[이광재]] 의원이 "단일화에서 지게 되면 향후 어떤 정치 행보를 걸을 것이냐" 라는 기자의 질문에 관련 답변을 한 후 "미래로 나아가야 한다. 마인크래프트를 여가부에서 성인등급으로 하는 이런 대한민국, 가상자산을 이렇게 불법화하는 대한민국의 미래가 없다." 라며 답변하였다. (1시간 37분 34초) 또한 공통 질문 시간에 "나는 이렇게 청년 민심을 사로잡겠다 하는 분들이 있는지" 라는 기자의 질문에 "첫 번째로 우리가 가상자산, 미래 기술에 대한 이해를 분명하게 해야만 우리가 젊은 세대와 소통할 수 있다. 마인크래프트 문제는 다시 한 번 근본적인 반성이 필요하다." 고 답변하였다. (1시간 47분 39초) [[https://youtu.be/crsx-2zsgqE|#]] * 2021년 7월 4일, 셧다운제 폐지안을 대표 발의한 [[더불어민주당]] [[전용기(정치인)|전용기]] 의원은 페이스북 성명문을 내고 "여가부는 현실부정 중단하고 셧다운제 폐지 논의에 참여하라"며 촉구했다. [[https://www.facebook.com/jeun.younggi/posts/3747140302058936|#]], [[https://twitter.com/Pleasure54/status/1411618231559745541/photo/1|##]] * 2021년 7월 5일, 당사자 조직이라고 할 수 있는 [[정의당]] 청소년위원회는 논평에서 이 사태에 대해 정면으로 비판하고 온라인 게임 셧다운제 완전 폐지를 요구했다. [[https://www.facebook.com/justice.youthact/posts/416427196484390?__tn__=-R|#]] * 2021년 7월 6일, 셧다운제 폐지안을 대표 발의한 [[국민의힘]] [[허은아]] 의원은 마인크래프트 문제를 언급하면서 '강제적 셧다운제 폐지 및 게임인식 개선법'을 발의했다고 밝혔다. [[https://blog.naver.com/eunaher21/222422135812|#]] * [[정세균]][* 2021년 7월 5일에 [[이광재]] 의원의 양보로 경선 후보 단일화를 이루었다.]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가 마인크래프트 문제를 언급하면서, '혁신산업 발전을 위한 규제 개혁으로 게임산업의 활성화'를 만들어내겠다고 블로그에서 밝혔다. [[https://blog.naver.com/gyunvely_413/222422141439|#]]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016&aid=0001857782|##]] * [[국민의힘]]이 2022년 대선을 앞두고 '''[[2021년 여성가족부 폐지 공약 논란|여성가족부 폐지]]'''를 공론화했다. 또한 여가부와 문재인 정부를 가리켜 ‘사실상 젠더갈등조장부가 됐다’고 비판했으며, 여가부를 폐지하고 여성 건강과 복지는 보건복지부, 여성 취업은 고용노동부, 창업은 중소벤처기업부, 성범죄는 사법당국이, 아동 양육과 돌봄은 복지부·교육부로 이관하겠다고 밝혔다. 여성가족부가 폐지된다면, [[셧다운제]]의 주무부처는 [[여성가족부]]에서 [[보건복지부]]로 옮겨 갈 전망이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0706078951001?input=tw|#]] * 2021년 7월 8일, 셧다운제 폐지안을 대표 발의한 [[더불어민주당]] [[전용기(정치인)|전용기]] 의원이 오후 3시부터 셧다운제를 주제로 연속 간담회를 개최했다. 특히 1부에는 여성가족부 청소년보호환경과가 참가했다. [[https://blog.naver.com/braveplane91/222425336421|전용기 의원 블로그]] [[https://www.thisisgame.com/webzine/game/nboard/225/?n=128302|디스이즈게임]] [[http://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263017|국제뉴스]] * 2021년 7월 9일, [[대한민국 국회|국회]] [[여성가족위원회]][* [[셧다운제]]를 규정하는 [[청소년 보호법]]의 소관위원회이다. [[https://women.na.go.kr:444/women/statute/statute01.do|#]]] [[더불어민주당]] 간사인 [[권인숙]] 의원이 셧다운제 폐지 법안을 대표발의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5&oid=277&aid=0004934871|#]] |
59 | 59 | ==== [[대한민국 국회|국회]] [[여성가족위원회]] ====[[셧다운제]]를 규정하는 [[청소년보호법]]은 [[여성가족위원회]][* 2021년 7월 현재 [[여성가족위원회]]는 위원 17인에 3개 소위원회,,법안심사소위원회(8인, 위원장 [[권인숙]]), 예산결산심사소위원회(9인, 위원장 [[김정재]]), 청원심사소위원회(6인, 위원장 [[양경숙]]),,가 있다.]가 소관위원회이다. [[https://women.na.go.kr:444/women/statute/statute01.do|#]] |
60 | 60 | 2021년 7월 9일 현재, [[여성가족위원회]] 위원 17인의 셧다운제에 관한 입장은 아래와 같다. |
61 | ||<-5><tablealign=center><tablewidth=550><tablebordercolor=#580009><bgcolor=#ffffff,#1f2023>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width=30px]] {{{#a86913 {{{+2 '''여성가족위원회'''}}}}}}]] ||||<-2><bgcolor=#cefbc9> {{{#green '''폐지 찬성'''}}} ||<-2><bgcolor=#dddddd> {{{#black '''입장 없음'''}}} ||<bgcolor=#ffa0a0> {{{#b40404 '''폐지 반대'''}}}[* 셧다운제의 유지·개정만 찬성한 경우도 '폐지 반대'에 포함.] ||||<-2><bgcolor=#cefbc9> {{{+2 {{{#green '''5'''}}}}}} ||<-2><bgcolor=#dddddd> {{{+2 {{{#black '''11'''}}}}}} ||<bgcolor=#ffa0a0> {{{+2 {{{#b40404 '''1'''}}}}}} ||||<rowbgcolor=#a86913><width=17%> {{{#ffffff '''구성'''}}} ||<width=17%> {{{#ffffff '''의원'''}}} ||<width=17%> {{{#ffffff '''소속 정당'''}}} ||<width=17%> {{{#ffffff '''선수'''}}} ||<width=33%> {{{#ffffff '''셧다운제 입장'''}}} |||| '''위원장''' ||<bgcolor=#ffffff,#1f2023> [[정춘숙]] ||<bgcolor=#004ea2> [[더불어민주당|{{{#ffffff '''민주'''}}}]] || 재선 ||<bgcolor=#ffa0a0> {{{#black '''2018년 폐지 반대'''}}}[* "정부가 '규제개혁'이란 큰 틀을 마련하긴 했지만, 청소년 보호가 우선", "원칙적으로 조금이라도 유해한 요소가 있다면 차단시키는 것이 적합하다고 본다", "실효성 검토는 필요한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https://www.asiae.co.kr/article/2018022110384108610|국회, '강제적 셧다운제' 논의까지 '셧다운'…8년째 제자리 (아시아경제)]]] |||| '''간사''' ||<bgcolor=#ffffff,#1f2023> [[권인숙]] ||<bgcolor=#004ea2> [[더불어민주당|{{{#ffffff '''민주'''}}}]] || 초선 ||<bgcolor=#cefbc9> {{{#green '''완전 폐지'''}}}[*권인숙안 [[권인숙]] 의원이 대표발의한 청소년보호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셧다운제]] 완전 폐지를 담았다.] |||| '''간사''' ||<bgcolor=#ffffff,#1f2023> [[김정재]] ||<bgcolor=#e61e2b> [[국민의힘|{{{#ffffff '''국힘'''}}}]] || 재선 ||<bgcolor=#dddddd> {{{#black '''입장 없음'''}}}[* 2021년 7월 9일에 게임물관리위원회의 위원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단체의 장이 추천한 과학기술 분야 전문가를 위촉할 수 있도록 명시하여 게임산업 관련 심의의 전문성을 보강하려는 [[https://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C2T1Y0X7I0E7G1E6I2F8F5S8H2H9S3|게임산업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 위원 ||<bgcolor=#ffffff,#1f2023> [[양경숙]] ||<bgcolor=#004ea2> [[더불어민주당|{{{#ffffff '''민주'''}}}]] || 초선 ||<bgcolor=#dddddd> {{{#black '''입장 없음'''}}}[* [[확률형 아이템 규제 법안#유동수안|2021년 3월 5일 이중 뽑기 시스템 '컴플리트 가챠'를 금지하는 게임산업법 개정법률안을 발의했다.]] [[https://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K2K1C0Q3B0P3M1V0R3Z6K3B1G1Z9K6|#]] 또한 게임 운영자가 게임 아이템을 부당하게 생성·판매하여 환전하는 행위를 금하는 게임산업법 개정법률안도 발의했다. [[https://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K2X1P0Q3N1G6T1J6X1W6O3T6B5B4J1|#]]] |||| 위원 ||<bgcolor=#ffffff,#1f2023> [[유정주]] ||<bgcolor=#004ea2> [[더불어민주당|{{{#ffffff '''민주'''}}}]] || 초선 ||<bgcolor=#cefbc9> {{{#green '''완전 폐지'''}}}[*권인숙안] |||| 위원 ||<bgcolor=#ffffff,#1f2023> [[이수진(1969년 5월)|이수진]],,,(비),,, ||<bgcolor=#004ea2> [[더불어민주당|{{{#ffffff '''민주'''}}}]] || 초선 ||<bgcolor=#cefbc9> {{{#green '''완전 폐지'''}}}[*권인숙안] |||| 위원 ||<bgcolor=#ffffff,#1f2023> [[이수진(1969년 11월)|이수진]],,,(지),,, ||<bgcolor=#004ea2> [[더불어민주당|{{{#ffffff '''민주'''}}}]] || 초선 ||<bgcolor=#cefbc9> {{{#green '''완전 폐지'''}}}[*권인숙안] |||| 위원 ||<bgcolor=#ffffff,#1f2023> [[이원택]] ||<bgcolor=#004ea2> [[더불어민주당|{{{#ffffff '''민주'''}}}]] || 초선 ||<bgcolor=#dddddd> {{{#black '''입장 없음'''}}} |||| 위원 ||<bgcolor=#ffffff,#1f2023> [[장경태]] ||<bgcolor=#004ea2> [[더불어민주당|{{{#ffffff '''민주'''}}}]] || 초선 ||<bgcolor=#FFE08C> {{{#ff4800 '''폐지 및 개정 찬성'''}}}[br][*전용기안 [[전용기(정치인)|전용기]] 의원이 대표발의한 청소년보호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셧다운제]] 완전 폐지를 담았다.][*권인숙안][*정청래안 [[정청래]] 의원이 대표발의한 청소년보호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셧다운제]]를 유지하되, 예외만 규정했다.] |||| 위원 ||<bgcolor=#ffffff,#1f2023> [[조승래]] ||<bgcolor=#004ea2> [[더불어민주당|{{{#ffffff '''민주'''}}}]] || 재선 ||<bgcolor=#dddddd> {{{#black '''입장 없음'''}}}[* 2021년 2월 8일에 '게임 중독' 표현의 삭제와 게임산업의 발전을 위한 한국게임진흥원과 전체이용가 이외의 게임을 이용할 때만 연령 확인을 하도록 하는 [[https://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X2H1U0J2I0O1Y1E3Z2X8P4U0P1S8A3|게임산업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사실 [[http://www.inews24.com/view/1258361|게임 인식 개선과 산업 진흥을 위한 게임법 개정은 조승래 의원의 21대 총선 출마 공약이기도 했다.]]] |||| 위원 ||<bgcolor=#ffffff,#1f2023> [[김미애]] ||<bgcolor=#e61e2b> [[국민의힘|{{{#ffffff '''국힘'''}}}]] || 초선 ||<bgcolor=#dddddd> {{{#black '''입장 없음'''}}} |||| 위원 ||<bgcolor=#ffffff,#1f2023> [[서정숙]] ||<bgcolor=#e61e2b> [[국민의힘|{{{#ffffff '''국힘'''}}}]] || 초선 ||<bgcolor=#dddddd> {{{#black '''입장 없음'''}}} |||| 위원 ||<bgcolor=#ffffff,#1f2023> [[양금희]] ||<bgcolor=#e61e2b> [[국민의힘|{{{#ffffff '''국힘'''}}}]] || 초선 ||<bgcolor=#dddddd> {{{#black '''입장 없음'''}}}[* 2021년 3월 24일에 [[확률형 아이템]]의 조작 의혹 등에 대응하여 문화체육관광부에 게임물이용자권익보호위원회를 두고, 게임제작업자·게임배급업자는 게임물이용자위원회를 두어 이용자의 권익을 보호하고자 하는 [[https://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V2E1S0M3L2T4D1B3L4A7W1J4Q0B8M2|게임산업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2021년 4월 20일에는 장애인의 게임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규정을 담은 [[https://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B2J1J0G4H1U9T1G5V2K0U4V2V7K9E1|게임산업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 위원 ||<bgcolor=#ffffff,#1f2023> [[이양수]] ||<bgcolor=#e61e2b> [[국민의힘|{{{#ffffff '''국힘'''}}}]] || 재선 ||<bgcolor=#dddddd> {{{#black '''입장 없음'''}}}[* 2021년 4월 20일에 장애인의 게임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규정을 담은 [[https://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B2J1J0G4H1U9T1G5V2K0U4V2V7K9E1|게임산업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2021년 7월 9일에 게임물관리위원회의 위원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단체의 장이 추천한 과학기술 분야 전문가를 위촉할 수 있도록 명시하여 게임산업 관련 심의의 전문성을 보강하려는 [[https://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C2T1Y0X7I0E7G1E6I2F8F5S8H2H9S3|게임산업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 위원 ||<bgcolor=#ffffff,#1f2023> [[전주혜]] ||<bgcolor=#e61e2b> [[국민의힘|{{{#ffffff '''국힘'''}}}]] || 초선 ||<bgcolor=#dddddd> {{{#black '''입장 없음'''}}}[* 2021년 7월 9일에 게임물관리위원회의 위원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단체의 장이 추천한 과학기술 분야 전문가를 위촉할 수 있도록 명시하여 게임산업 관련 심의의 전문성을 보강하려는 [[https://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C2T1Y0X7I0E7G1E6I2F8F5S8H2H9S3|게임산업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 위원 ||<bgcolor=#ffffff,#1f2023> [[최연숙]] ||<bgcolor=#ea5504> [[국민의당(2020년)|{{{#ffffff '''국당'''}}}]] || 초선 ||<bgcolor=#dddddd> {{{#black '''입장 없음'''}}} |||| 위원 ||<bgcolor=#ffffff,#1f2023> [[양이원영]] ||<bgcolor=#808080> [[무소속|{{{#ffffff '''무소속'''}}}]] || 초선 ||<bgcolor=#dddddd> {{{#black '''입장 없음'''}}} ||==== 게임 셧다운제 폐지 및 부모 자율권 보장 세미나 ====||<-4><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3c4997><table bgcolor=#fff,#191919><table width=550><bgcolor=#3c4997> {{{+1 {{{#ffffff 정책 세미나 -}}} {{{#fdd57d '''게임 셧다운제 폐지 및 부모 자율권 보장'''}}}}}} ||||<-4> {{{#!wiki style="margin: -5px -10px"[youtube(, width=100%)]}}} ||||<width=25%><-1> '''일시''' ||<-3>[[2021년]] [[7월 13일]] 오전 10시 30분 ||||<width=25%><-1> '''좌장''' ||<-3>황성기 한양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2><-1> '''발제''' ||<-3>조문석 한성대 행정학과 교수 ||||<-3>이병찬 법무법인 온새미로 변호사 ||||<|4><-1> '''패널''' ||<-3>박승범 문화체육관광부 게임콘텐츠산업과 과장 ||||<-3>한종천 수원공업고등학교 교사 ||||<-3>장근영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3>전현수 우리들의 마인크래프트 공간 대표 ||||<-1> '''관련 게시글''' ||<-3>[[https://blog.naver.com/eunaher21/222423498603|네이버 블로그]] ||[[국민의힘]] [[허은아]] 의원이 2021년 7월 13일 오전 10시 30분에 [[셧다운제|강제적 셧다운제]] 폐지에 관한 국회 토론회를 전경련 컨퍼런스센터 3층 다이아몬드 홀에서 연다고 밝혔다. [[https://www.youtube.com/channel/UCn4XKoRA442qzPOu28gIPIw|허은아 의원 유튜브 채널]]에서도 실시간으로 참여할 수 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031&aid=0000609187|#]] |
|
62 | ||
61 | ||<-5><tablealign=center><tablewidth=550><tablebordercolor=#580009><bgcolor=#ffffff,#1f2023>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width=30px]] {{{#a86913 {{{+2 '''여성가족위원회'''}}}}}}]] ||||<-2><bgcolor=#cefbc9> {{{#green '''폐지 찬성'''}}} ||<-2><bgcolor=#dddddd> {{{#black '''입장 없음'''}}} ||<bgcolor=#ffa0a0> {{{#b40404 '''폐지 반대'''}}}[* 셧다운제의 유지·개정만 찬성한 경우도 '폐지 반대'에 포함.] ||||<-2><bgcolor=#cefbc9> {{{+2 {{{#green '''5'''}}}}}} ||<-2><bgcolor=#dddddd> {{{+2 {{{#black '''11'''}}}}}} ||<bgcolor=#ffa0a0> {{{+2 {{{#b40404 '''1'''}}}}}} ||||<rowbgcolor=#a86913><width=17%> {{{#ffffff '''구성'''}}} ||<width=17%> {{{#ffffff '''의원'''}}} ||<width=17%> {{{#ffffff '''소속 정당'''}}} ||<width=17%> {{{#ffffff '''선수'''}}} ||<width=33%> {{{#ffffff '''셧다운제 입장'''}}} |||| '''위원장''' ||<bgcolor=#ffffff,#1f2023> [[정춘숙]] ||<bgcolor=#004ea2> [[더불어민주당|{{{#ffffff '''민주'''}}}]] || 재선 ||<bgcolor=#ffa0a0> {{{#black '''2018년 폐지 반대'''}}}[* "정부가 '규제개혁'이란 큰 틀을 마련하긴 했지만, 청소년 보호가 우선", "원칙적으로 조금이라도 유해한 요소가 있다면 차단시키는 것이 적합하다고 본다", "실효성 검토는 필요한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https://www.asiae.co.kr/article/2018022110384108610|국회, '강제적 셧다운제' 논의까지 '셧다운'…8년째 제자리 (아시아경제)]]] |||| '''간사''' ||<bgcolor=#ffffff,#1f2023> [[권인숙]] ||<bgcolor=#004ea2> [[더불어민주당|{{{#ffffff '''민주'''}}}]] || 초선 ||<bgcolor=#cefbc9> {{{#green '''완전 폐지'''}}}[*권인숙안 [[권인숙]] 의원이 대표발의한 청소년보호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셧다운제]] 완전 폐지를 담았다.] |||| '''간사''' ||<bgcolor=#ffffff,#1f2023> [[김정재]] ||<bgcolor=#e61e2b> [[국민의힘|{{{#ffffff '''국힘'''}}}]] || 재선 ||<bgcolor=#dddddd> {{{#black '''입장 없음'''}}}[* 2021년 7월 9일에 게임물관리위원회의 위원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단체의 장이 추천한 과학기술 분야 전문가를 위촉할 수 있도록 명시하여 게임산업 관련 심의의 전문성을 보강하려는 [[https://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C2T1Y0X7I0E7G1E6I2F8F5S8H2H9S3|게임산업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 위원 ||<bgcolor=#ffffff,#1f2023> [[양경숙]] ||<bgcolor=#004ea2> [[더불어민주당|{{{#ffffff '''민주'''}}}]] || 초선 ||<bgcolor=#dddddd> {{{#black '''입장 없음'''}}}[* [[확률형 아이템 규제 법안#유동수안|2021년 3월 5일 이중 뽑기 시스템 '컴플리트 가챠'를 금지하는 게임산업법 개정법률안을 발의했다.]] [[https://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K2K1C0Q3B0P3M1V0R3Z6K3B1G1Z9K6|#]] 또한 게임 운영자가 게임 아이템을 부당하게 생성·판매하여 환전하는 행위를 금하는 게임산업법 개정법률안도 발의했다. [[https://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K2X1P0Q3N1G6T1J6X1W6O3T6B5B4J1|#]]] |||| 위원 ||<bgcolor=#ffffff,#1f2023> [[유정주]] ||<bgcolor=#004ea2> [[더불어민주당|{{{#ffffff '''민주'''}}}]] || 초선 ||<bgcolor=#cefbc9> {{{#green '''완전 폐지'''}}}[*권인숙안] |||| 위원 ||<bgcolor=#ffffff,#1f2023> [[이수진(1969년 5월)|이수진]],,,(비),,, ||<bgcolor=#004ea2> [[더불어민주당|{{{#ffffff '''민주'''}}}]] || 초선 ||<bgcolor=#cefbc9> {{{#green '''완전 폐지'''}}}[*권인숙안] |||| 위원 ||<bgcolor=#ffffff,#1f2023> [[이수진(1969년 11월)|이수진]],,,(지),,, ||<bgcolor=#004ea2> [[더불어민주당|{{{#ffffff '''민주'''}}}]] || 초선 ||<bgcolor=#cefbc9> {{{#green '''완전 폐지'''}}}[*권인숙안] |||| 위원 ||<bgcolor=#ffffff,#1f2023> [[이원택]] ||<bgcolor=#004ea2> [[더불어민주당|{{{#ffffff '''민주'''}}}]] || 초선 ||<bgcolor=#dddddd> {{{#black '''입장 없음'''}}} |||| 위원 ||<bgcolor=#ffffff,#1f2023> [[장경태]] ||<bgcolor=#004ea2> [[더불어민주당|{{{#ffffff '''민주'''}}}]] || 초선 ||<bgcolor=#FFE08C> {{{#ff4800 '''폐지 및 개정 찬성'''}}}[br][*전용기안 [[전용기(정치인)|전용기]] 의원이 대표발의한 청소년보호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셧다운제]] 완전 폐지를 담았다.][*권인숙안][*정청래안 [[정청래]] 의원이 대표발의한 청소년보호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셧다운제]]를 유지하되, 예외만 규정했다.] |||| 위원 ||<bgcolor=#ffffff,#1f2023> [[조승래]] ||<bgcolor=#004ea2> [[더불어민주당|{{{#ffffff '''민주'''}}}]] || 재선 ||<bgcolor=#dddddd> {{{#black '''입장 없음'''}}}[* 2021년 2월 8일에 '게임 중독' 표현의 삭제와 게임산업의 발전을 위한 한국게임진흥원과 전체이용가 이외의 게임을 이용할 때만 연령 확인을 하도록 하는 [[https://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X2H1U0J2I0O1Y1E3Z2X8P4U0P1S8A3|게임산업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사실 [[http://www.inews24.com/view/1258361|게임 인식 개선과 산업 진흥을 위한 게임법 개정은 조승래 의원의 21대 총선 출마 공약이기도 했다.]]] |||| 위원 ||<bgcolor=#ffffff,#1f2023> [[김미애]] ||<bgcolor=#e61e2b> [[국민의힘|{{{#ffffff '''국힘'''}}}]] || 초선 ||<bgcolor=#dddddd> {{{#black '''입장 없음'''}}} |||| 위원 ||<bgcolor=#ffffff,#1f2023> [[서정숙]] ||<bgcolor=#e61e2b> [[국민의힘|{{{#ffffff '''국힘'''}}}]] || 초선 ||<bgcolor=#dddddd> {{{#black '''입장 없음'''}}} |||| 위원 ||<bgcolor=#ffffff,#1f2023> [[양금희]] ||<bgcolor=#e61e2b> [[국민의힘|{{{#ffffff '''국힘'''}}}]] || 초선 ||<bgcolor=#dddddd> {{{#black '''입장 없음'''}}}[* 2021년 3월 24일에 [[확률형 아이템]]의 조작 의혹 등에 대응하여 문화체육관광부에 게임물이용자권익보호위원회를 두고, 게임제작업자·게임배급업자는 게임물이용자위원회를 두어 이용자의 권익을 보호하고자 하는 [[https://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V2E1S0M3L2T4D1B3L4A7W1J4Q0B8M2|게임산업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2021년 4월 20일에는 장애인의 게임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규정을 담은 [[https://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B2J1J0G4H1U9T1G5V2K0U4V2V7K9E1|게임산업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 위원 ||<bgcolor=#ffffff,#1f2023> [[이양수]] ||<bgcolor=#e61e2b> [[국민의힘|{{{#ffffff '''국힘'''}}}]] || 재선 ||<bgcolor=#dddddd> {{{#black '''입장 없음'''}}}[* 2021년 4월 20일에 장애인의 게임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규정을 담은 [[https://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B2J1J0G4H1U9T1G5V2K0U4V2V7K9E1|게임산업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2021년 7월 9일에 게임물관리위원회의 위원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단체의 장이 추천한 과학기술 분야 전문가를 위촉할 수 있도록 명시하여 게임산업 관련 심의의 전문성을 보강하려는 [[https://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C2T1Y0X7I0E7G1E6I2F8F5S8H2H9S3|게임산업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 위원 ||<bgcolor=#ffffff,#1f2023> [[전주혜]] ||<bgcolor=#e61e2b> [[국민의힘|{{{#ffffff '''국힘'''}}}]] || 초선 ||<bgcolor=#dddddd> {{{#black '''입장 없음'''}}}[* 2021년 7월 9일에 게임물관리위원회의 위원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단체의 장이 추천한 과학기술 분야 전문가를 위촉할 수 있도록 명시하여 게임산업 관련 심의의 전문성을 보강하려는 [[https://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C2T1Y0X7I0E7G1E6I2F8F5S8H2H9S3|게임산업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 위원 ||<bgcolor=#ffffff,#1f2023> [[최연숙]] ||<bgcolor=#ea5504> [[국민의당(2020년)|{{{#ffffff '''국당'''}}}]] || 초선 ||<bgcolor=#dddddd> {{{#black '''입장 없음'''}}} |||| 위원 ||<bgcolor=#ffffff,#1f2023> [[양이원영]] ||<bgcolor=#808080> [[무소속|{{{#ffffff '''무소속'''}}}]] || 초선 ||<bgcolor=#dddddd> {{{#black '''입장 없음'''}}} ||==== 게임 셧다운제 폐지 및 부모 자율권 보장 세미나 ====||<-4><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3c4997><table bgcolor=#fff,#191919><table width=550><bgcolor=#3c4997> {{{+1 {{{#ffffff 정책 세미나 -}}} {{{#fdd57d '''게임 셧다운제 폐지 및 부모 자율권 보장'''}}}}}} ||||<-4> {{{#!wiki style="margin: -5px -10px"[youtube(,)]}}} ||||<width=25%><-1> '''일시''' ||<-3>[[2021년]] [[7월 13일]] 오전 10시 30분 ||||<width=25%><-1> '''좌장''' ||<-3>황성기 한양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2><-1> '''발제''' ||<-3>조문석 한성대 행정학과 교수 ||||<-3>이병찬 법무법인 온새미로 변호사 ||||<|4><-1> '''패널''' ||<-3>박승범 문화체육관광부 게임콘텐츠산업과 과장 ||||<-3>한종천 수원공업고등학교 교사 ||||<-3>장근영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3>전현수 우리들의 마인크래프트 공간 대표 ||||<-1> '''관련 게시글''' ||<-3>[[https://blog.naver.com/eunaher21/222423498603|네이버 블로그]] ||[[국민의힘]] [[허은아]] 의원이 2021년 7월 13일 오전 10시 30분에 [[셧다운제|강제적 셧다운제]] 폐지에 관한 국회 토론회를 전경련 컨퍼런스센터 3층 다이아몬드 홀에서 연다고 밝혔다. [[https://www.youtube.com/channel/UCn4XKoRA442qzPOu28gIPIw|허은아 의원 유튜브 채널]]에서도 실시간으로 참여할 수 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031&aid=0000609187|#]]==== [[2021년 여성가족부 폐지 공약 논란|여성가족부 폐지론 재점화]] ====사건이 불거진 후 여성가족부에 대한 비판여론이 커지던 중 [[국민의힘]] [[유승민]], [[하태경]] 등 대권주자들과 [[이준석]] 대표가 여성가족부 폐지를 주장하면서 여성가족부 폐지론까지 논란이 옮겨붙었다.== [[셧다운제]] 폐지 논의 본격화 ===== 셧다운제 폐지·개정 법안 ===||<tablewidth=550px><tablebordercolor=#50505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f2023><bgcolor=#505050><-3> [[셧다운제/진행상황#s-4|{{{#FFF '''셧다운제 폐지·개정 법안'''}}}]] ||||<rowbgcolor=#505050><width=20%> {{{#FFF '''법안'''}}} ||<width=25%> {{{#FFF '''셧다운제 폐지 여부'''}}} ||<width=55%> {{{#FFF '''내용'''}}} |||| '''[[전용기(정치인)|{{{#004EA2 전용기 의원 안}}}]]''' ||<|3><bgcolor=#cefbc9> '''{{{#green 완전 폐지}}}''' ||<(> '''청소년 보호법 제26조[*S [[셧다운제]]의 핵심 조항.][*A 인터넷게임의 제공자가 16세 미만의 청소년에게 오전 0시부터 오전 6시까지 인터넷게임을 제공할 수 없게 만드는 조항.] 폐지[br]청소년 보호법 제59조제5호[*S][*B [[셧다운제]] 위반 시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게 하는 벌칙 조항.] 폐지''' |||| '''[[허은아|{{{#e61e2b 허은아 의원 안}}}]]''' ||<(> '''청소년 보호법 제26조[*S][*A] 폐지[br]청소년 보호법 제59조제5호[*S][*B] 폐지'''[br]청소년 보호법 제25조제1항제2호[*C 인터넷게임의 제공자가 16세 미만의 청소년 회원가입자의 친권자등에게 인터넷게임 이용시간을 알려야 할 의무를 갖게 하는 조항.] 개정[*D 인터넷게임의 제공자가 16세 미만의 청소년 회원가입자의 친권자등에게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게임산업법]] 제12조의3제1항제3호에 따른 '선택적 셧다운제'를 알려야 할 의무를 갖도록 개정.][br]“인터넷게임 중독”을 “인터넷게임 과몰입”으로 용어 개선 |||| '''[[권인숙|{{{#004EA2 권인숙 의원 안}}}]]''' ||<(> '''청소년 보호법 제26조[*S][*A] 폐지[br]청소년 보호법 제59조제5호[*S][*B] 폐지'''[br]청소년 보호법 제25조제1항제2호[*C] 폐지[br]청소년 보호법 제27조 신설[* 인터넷게임 중독 청소년뿐만 아니라 그 가족도 함께 상담ㆍ교육 등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조항 시설.] |||| '''[[강훈식|{{{#004EA2 강훈식 의원 안}}}]]''' ||<|2><bgcolor=#ffa0a0> '''{{{#B40404 유지 및 개정}}}''' ||<(> 청소년 보호법 제26조[*S][*A]제1항 단서 신설[* 친권자등이 인터넷게임의 제공을 요청한 경우에는 오전 0시부터 오전 6시 동안에도 인터넷게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셧다운제]]의 예외 단서 신설.][br]청소년 보호법 제45조제1항제7호의2 신설[* [[셧다운제]] 위반 시 시정을 명할 수 있는 조항 신설. 시정명령은 현행 법과 마찬가지로 [[여성가족부장관]] 또는 [[기초자치단체|기초자치단체장]]이 한다.][br]청소년 보호법 제59조제5호[*S][*B] 개정[* [[셧다운제]] 위반으로 인한 시정명령을 이행하지 않을 시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게 하도록 개정.] |||| '''[[정청래|{{{#004EA2 정청래 의원 안}}}]]''' ||<(> 청소년 보호법 제26조[*S][*A]제1항 단서 신설[* 16세 미만 청소년 중 [[https://law.go.kr/%EB%B2%95%EB%A0%B9/%EC%9D%B4%EC%8A%A4%ED%8F%AC%EC%B8%A0(%EC%A0%84%EC%9E%90%EC%8A%A4%ED%8F%AC%EC%B8%A0)%EC%A7%84%ED%9D%A5%EC%97%90%EA%B4%80%ED%95%9C%EB%B2%95%EB%A5%A0/|이스포츠법]]에 따라 등록된 이스포츠 선수에게는 훈련여건을 보장하기 위해 오전 0시부터 오전 6시 동안에도 인터넷게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셧다운제]]의 예외 단서 신설.] || '''{{{#green 셧다운제를 완전 폐지하는 법안}}}'''은 3건{{{-2 (전용기 의원 안, 허은아 의원 안, 권인숙 의원 안)}}}이고, '''{{{#B40404 셧다운제를 유지 및 개정하는 법안}}}'''은 2건{{{-2 (강훈식 의원 안, 정청래 의원 안)}}}이다. |
|
63 | 62 | '''{{{#green 셧다운제를 완전 폐지하는 법안}}}'''은 셧다운제의 핵심 조항인 [[청소년 보호법]] 제26조[*A]와 제59조제5호[*B]를 폐지하는 것이 핵심이다. 마인크래프트 미성년자 이용 불가 사태의 공론화 이후에 발의된 허은아 의원 안은 "인터넷게임 중독"을 "인터넷게임 과몰입"으로의 용어 개선도 담았다. 다만, 세 법안 모두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선택적 셧다운제'[* [[https://www.law.go.kr/%EB%B2%95%EB%A0%B9/%EC%B2%AD%EC%86%8C%EB%85%84%EB%B3%B4%ED%98%B8%EB%B2%95|게임산업법 제12조의3제3호]]에 따라, 청소년 본인 또는 법정대리인이 요청하면 게임물 관련 사업자는 게임물 이용방법, 게임물 이용시간 등의 게임 과몰입 예방조치를 해야 하는 제도. [[셧다운제]]를 '선택적 셧다운제'와 구분할 때는 '강제적 셧다운제'라고 부르기도 한다. 즉, 한 분야에 두 규제가 중복으로 적용되고 있다.]까지 폐지시키는 것은 아니다. 전용기 의원 안은 [[셧다운제]]의 폐지만 있는 '원포인트 법안'이라 '선택적 셧다운제'는 아예 다루지 않았으며, 허은아 의원 안은 [[셧다운제]]의 폐지에 대한 반감을 줄이기 위해, 제25조제1항제2호[*C]를 개정[*D]하여 '선택적 셧다운제'를 활용하고 있다. 권인숙 의원 안은 인터넷게임 제공 시간을 고지할 의무도 삭제하는 대신, '인터넷게임 중독 청소년' 및 그 가족이 상담·교육 등의 서비스를 받게 하는 조항을 신설했다. |
64 | 63 | '''{{{#B40404 셧다운제를 유지 및 개정하는 법안}}}'''은 셧다운제 자체는 유지하되, 그 예외를 두는 것이 핵심이다. 강훈식 의원 안은 친권자 등[* 주로 해당 청소년의 부모에 해당.]의 인터넷게임 제공 요청 및 철회 조항[* 인터넷게임 제공 요청하는 방법이나 철회하는 방법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는 조항을 신설했다.]을 신설했다. 즉, 해당 청소년의 부모가 요청할 경우에 한하여 셧다운제의 예외를 인정한 것이다. 정청래 의원 안은 이스포츠 선수는 셧다운제에 제외되도록 예외 단서를 신설했다. '''하지만, 이 법안들로는 한국만의 기형적인 게임 규제법이 사라지지 않으므로, 마인크래프트의 성인게임화 문제를 해결할 수 없으며, 여전히 [[여성가족부]]는 [[게임물관리위원회]]의 권한을 침해하는 기이한 상황이 유지되기 때문에 여론이 납득 가능할 정도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다.'''[*UG][* 그리고 만약에라도 마이크로소프트가 한국에 인증 서버를 넣어 나이 인증을 하여 셧다운제 시스템을 넣는다면 이 법안들 때문에 오히려 복잡해진다. 나이 인증만 하고 시간 제한을 시키면 되지만, 이 법안이 통과될 경우 따로 친권자가 요청할 경우 또는 이스포츠 선수인 경우를 고려하여 별도로 제외까지 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전용기(정치인)|전용기]] 의원 안 (셧다운제 완전 폐지) ====||<-11><table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0c2b8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000,#eee><bgcolor=#f2f2f2,#0d0d0d>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5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c2b80 5%, #5b9bc7 5%, #5b9bc7 15%, transparent 15%, transparent 85%, #4cb699 8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left"[[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CI.svg|width=80&align=left]]]] '''{{{+1 [[셧다운제/진행상황|{{{#000,#ddd 셧다운제 폐지 법안}}}]]}}}'''[br] {{{#505557,#ccc '''전용기 의원 등 12인'''}}}}}}}}} ||||<-2><bgcolor=#0c2b80> {{{#fff '''발의일'''}}} ||<-9><width=80%><(> 2021년 6월 25일 ||||<-2><bgcolor=#0c2b80> {{{#fff '''발의자'''}}} ||<-9><(> [[전용기(정치인)|전용기]] · [[고영인]] · [[김승원(정치인)|김승원]] · [[도종환]] · [[류호정]] · [[신정훈]][br][[이병훈(정치인)|이병훈]] · [[이상헌(정치인)|이상헌]] · [[이원욱]] · [[장경태]] · [[허영(1970)|허영]] · [[홍정민]] 의원(12인)[*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의원 11인, [include(틀:정의당)] 의원 1인] ||||<-2><bgcolor=#0c2b80> {{{#fff '''셧다운제 폐지 여부'''}}} ||<-9><bgcolor=#cefbc9><(> {{{#green '''완전 폐지'''}}} ||||<-2><bgcolor=#0c2b80> {{{#fff '''법안 내용'''}}} ||<-9><(>{{{+1 '''청소년 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청소년 보호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제26조를 삭제한다.제59조제5호를 삭제한다.||||<-11><bgcolor=#0c2b80><:> {{{#fff '''법률 제정 진행과정 상태''' {{{-2 (2021년 7월 9일 기준)}}}}}}||||<:>접수||<:>→||<:><bgcolor=#058fce><color=#fff>위원회 심사||<:>→||<:>체계자구 심사||<:>→||<:>본회의 심의||<:>→||<:>정부 이송||<:>→||<:>공포||||<-11><:>[[https://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R2I1J0M1S2F0R1X4U1W4F2L8E9E6S0|[2111102] 청소년 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전용기의원등12인)]]|| |
65 | 64 | ==== [[허은아]] 의원 안 (셧다운제 완전 폐지) ====||<-11><table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0c2b80><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000,#eee><bgcolor=#f2f2f2,#0d0d0d>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5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c2b80 5%, #5b9bc7 5%, #5b9bc7 15%, transparent 15%, transparent 85%, #4cb699 8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left"[[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CI.svg|width=80&align=left]]]] '''{{{+1 [[셧다운제/진행상황|{{{#000,#ddd 셧다운제 폐지 법안}}}]]}}}'''[br] {{{#505557,#ccc '''허은아 의원 등 11인'''}}}}}}}}} ||||<-2><bgcolor=#0c2b80> {{{#fff '''발의일'''}}} ||<-9><width=80%><(> 2021년 7월 5일 ||||<-2><bgcolor=#0c2b80> {{{#fff '''발의자'''}}} ||<-9><(> [[허은아]] · [[권영세]] · [[김병욱(1977)|김병욱]] · [[김승수]] · [[김웅(1970 정치인)|김웅]] · [[류호정]][[성일종]] · [[신원식]] · [[하태경]] · [[한무경]] · [[황보승희]] 의원(11인)[* [include(틀:국민의힘)] 의원 10인, [include(틀:정의당)] 의원 1인] ||||<-2><bgcolor=#0c2b80> {{{#fff '''셧다운제 폐지 여부'''}}} ||<-9><bgcolor=#cefbc9><(> {{{#green '''완전 폐지'''}}} ||||<-2><bgcolor=#0c2b80> {{{#fff '''법안 내용'''}}} ||<-9><(>{{{+1 '''청소년 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청소년 보호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제3장의 제목 중 “중독”을 “과몰입”으로 한다.제25조제1항제2호를 다음과 같이 한다.__2.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제12조의3제1항제3호에 따른 청소년 본인 또는 법정대리인의 요청 시 게임물 이용방법, 게임물 이용시간 등의 제한__제26조를 삭제한다.제27조의 제목 및 같은 조 제1항 중 “중독”을 각각 “과몰입”으로 한다.제59조제5호를 삭제한다. ||||<-11><bgcolor=#0c2b80><:> {{{#fff '''법률 제정 진행과정 상태''' {{{-2 (2021년 7월 9일 기준)}}}}}}||||<:>접수||<:>→||<:><bgcolor=#058fce><color=#fff>위원회 심사||<:>→||<:>체계자구 심사||<:>→||<:>본회의 심의||<:>→||<:>정부 이송||<:>→||<:>공포||||<-11><:>[[https://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E2L1U0Q7B0K5S1Q4X1L1Z0C3R2L8S5|[2111332] 청소년 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허은아의원 등 11인)]]|| |
... | ... |